지방선거, 승자.패자 향한 자원봉사자의 칼날(?)
상태바
지방선거, 승자.패자 향한 자원봉사자의 칼날(?)
  • 정진영 기자
  • 승인 2014.07.02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후 일당 정산 안됨에 따라 고질적 병폐 정착 / 사조직 자원봉사자 ... 이권개입, 청탁 등 공격

6·4지방선거가 끝난 지 1달이 됐다. 승리한 후보는 취임식을 통해 새로운 각오를 밝히며, 시정 또는 의정활동 방향을 시민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는 지방선거의 후유증으로 인해 반목과 갈등이 일고 있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선거가 끝났지만 지불해야 할 비용에 대한 정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

특히 일부 후보자들이 선거를 위해 운영했던 사조직 즉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사후 비용 처리 문제가 지역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법적 선거운동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쉬쉬’하고 있지만 자원봉사자로 참여했던 시민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자원봉사자를 관리하거나 운영했던 팀장급 시민들의 속앓이도 커지고 있다.

팀장들은 보통 20~30명 단위로 팀을 이뤄 후보자에게 자원봉사자들을 소개했는데 정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자신들이 이러한 비용을 감당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법적 선거운동원이 아닌 사조직 성격인 선거운동원 자원봉사자의 비용에 대해서는 후보자들이 보통 후불제로 운영하고 있다. 이유는 선불이나 선거기간 중에 지불했을 경우, 간혹 선관위에 신고를 해버릴 수 있는 상대 후보 측 프락치가 있을 것에 대비해서다.

법적 선거운동원의 하루 일당은 식대를 포함해 7만 원이다. 선거운동기간 13일을 환산하면 보통 91만 원이다.

그런데 지방선거가 가열되면서 법적 선거운동원의 비용을 받고 참여하는 시민들은 드문편이다. 하루 일당 7만 원은 지난 2010년 선거 때 비용이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 때는 하루 일당 10만 원에 별도의 특별 보너스가 지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13일간의 일당에 특별보너스를 포함해 150만 원에서 200만 원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후보자들의 여론조사를 위해 참여했던 자원봉사자의 경우는 비용을 더 받았다.
보통 선거운동원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은 ‘줌마’ 세대로 아줌마 층이며,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고 난 후 가전제품 등 필요한 생활가전제품이나 자녀 학자금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쉬쉬하면서도 빨리 지급해 달라

선거가 끝났지만 선거운동원으로 참여했던 자원봉사자 아줌마들은 극도로 반발하고 있다. 당연히 선거운동원으로 일한 만큼 일당을 계산해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공론화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법적 선거운동원이 아닌 자원봉사자에게 나가는 비용은 불법이기 때문이다. 줘서도 안되며 받아서도 안되는 공공연한 비밀스러운 돈이기 때문이다.

지난 2006년 선거 당시 A후보자의 자원봉사자 지급 명세서가 유출돼 선관위에 고발됐으며, 100만원 내외의 과태료를 물었다.

이번 선거에서 낙선한 B후보자는 자원봉사자에게 일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음에 따라 선거운동원, 자원봉사자, 자원봉사 팀장들 간의 갈등이 일고 있다.

승리한 C후보자도 선거후 비용을 정산하는 곳에 시민의 제보로 선관위 직원이 급습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 당선인 향해 조여드는 자원봉사자의 칼날

과거 D 후보도 자원봉사자를 관리했던 팀장급 지인으로부터 곤혹을 치렀다. 자원봉사를 교육시키는 장소에서의 대화 녹취가 유출되어 결국 경찰의 조사까지 이어졌다. 녹취가 완전한 것이 아니고 편집됐고, 사실 확인 입증이 어려워 무혐의를 받았다.

지역사회는 이를 두고 뭔가를 요구했으나 들어주지 않자 녹취를 흘렸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시장에 나섰던 E후보도 과거 선거후 정산이 되지 않아 지역 자영업체는 물론 자원봉사자들의 강한 항의를 받기도 했다.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후보자나 낙선한 후보자 일부에서 갈등이 시작됐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고질적인 병폐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 자원봉사자로 활동했지만 제대로 일당을 받지 못했던 시민들은 아예 처음부터 후보자의 약점을 찾고 있다. 또 이를 활용한 압박의 수단으로 삼는 선거 선수들도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앞으로 각종 이권에 개입하거나 청탁, 실력행사 등을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보자의 약점을 노출시킬 수도 있어 2차, 3차 선거 범죄가 우려되고 있다.

자신의 선거를 위해 운영했던 자원봉사자나 선거운동원들이 도리어 자신에게 칼을 겨누고 있는 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정진영기자


<목포타임즈신문 제102호 2014년 7월 2일자 1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